티스토리 뷰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Amazon의 AWSMS의 Azure, Google Cloud를 중심으로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제공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세 클라우드 서비스의 차이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AWS의 Route 53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타 클라우드 서비스의 Azure DNSGoogle Cloud DN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클라우드 DNS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AWS Route 53 실습은 아래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WS Route53] 도메인 이름으로 웹 서비스 배포하기

1. 클라우드 DNS 서비스와 Route 53 외부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안의 호스트 이름을 해석하지 못하는데, DNS 서비스 설정을 통해 호스트 이름을 해석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IP 주소가 아

logforlog.tistory.com

 

 

 

1. 클라우드 DNS 서비스 주요 기능 도출

클라우드 서비스로 서비스를 배포하는 사용자 관점에서 Route 53을 이용해 본 뒤, 클라우드 DNS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다음과 같이 도출했습니다.

 

클라우드 DNS 서비스의 주요 기능

 

위와 같은 크게 일곱 가지의 주요 사항을 정리했습니다.

 

 

 

2. 요금 정책 분석: Route 53을 중심으로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DNS 서비스의 비용 산정은 호스팅 영역 + 쿼리 요금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에 상태 검사 등의 부가 기능에 따른 비용이 추가됩니다.

 

Route 53 역시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지불하며, 비용이 발생하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Route 53으로 관리하는 각 호스팅 영역에 대한 월별 요금과 Route 53 서비스에서 응답하는 DNS 쿼리 당 발생하는 요금, Route 53을 통해 등록하거나 전송된 도메인 이름에 대한 연간 비용이 그 요인입니다.

즉 Route 53은 무료 도메인을 사용하더라도 도메인 연결 시 호스트 영역을 등록하게 되므로 과금이 발생됩니다. (호스팅 영역을 등록할 때마다 비용이 발생하는 방식입니다.)

 

Route 53 요금 정책(*월별 산정 기준 금액, 단위 USD)과 AWS Pricing Calculator)

 

 

📌DNS 쿼리란?
특정 도메인의 IP를 조회하기 위해 네임서버로 요청하는 횟수, 즉 도메인을 통해 AWS 접속하는 횟수당 발생하는 비용

 

 

또한 AWS 요금 계산기를 통해 현 Route 53 아키텍쳐의 사용자 지정 비용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AWS Pricing Calculator

 

calculator.aws

 

AWS는 테스트 허용을 위해 생성 후 12시간 내 삭제된 호스팅 영역에 대해서는 요금을 부과하지 않고, 신규 고객은 상태 확인을 최대 50회까지 무료로 사용 가능하게 해 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요금 정책이 굉장히 세부적으로 나뉘어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자 지정 비용 계산기를 제공해 과금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3. 타 클라우드 DNS 서비스와의 비교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타 클라우드 서비스의 Azure DNS와 Google Cloud DN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은 공식 문서에 의해 각 서비스의 기능과 요금 정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Azure DNS

Azure DNS는 MS Azure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DNS 도메인에 대한 호스팅 서비스이며, DNS 레코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Route 53과 가장 큰 차이는 우선 서비스 자체적으로 도메인 네임을 구매할 수 없다는 것과 DNSSEC을 지원하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공식 문서에서 상태 점검에 관한 내용과 요금 정책을 찾을 수 없어, 해당 기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Azure DNS 호스팅 영역 관리 화면 (공식 문서 참조)

 

Google Cloud DNS

 

Google Cloud DNS는 Google Cloud의 클라우드 기반 관리형 DNS 서비스로, 레코드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Google Cloud Domains라는 다른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Cloud DNS와 Cloud Domains를 함께 사용해 Google Cloud에서 도메인 네임을 구매하고 해당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Google Cloud DNS 관리 영역 화면 (공식 문서 참조)

 

AWS와 거의 유사한 모든 기능을 제공하며, 관리형 영역의 개수에 따른 비용 산정이 좀 더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AWS처럼 사용자 지정 계산기 형태는 아니지만, 월별 예상 비용 예시를 첨부해 대략적인 서비스 비용 예상을 할 수 있도록 공식 문서에 명시해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4. 각 DNS 서비스 간 요약 비교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하는 핵심은 원하는 기능의 구현 여부비용입니다. 앞서 도출한 클라우드 DNS 서비스의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세 DNS 서비스를 비교해보았습니다. (*Google Cloud DNS의 경우 도메인 구입과 등록을 별도의 Cloud Domains라는 서비스를 통해 하고 있습니다. 두 서비스를 클라우드에서 함께 사용하여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기능 구현 여부에 대해 △로 표기했습니다.)

 

서비스별 기능 비교

 

다음은 각 서비스의 비용 정책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단위: USD 달러, 월별 산정되는 요금)

 

서비스별 비용 정책 비교

 

 

 

세 서비스 모두 공통적으로 쉽게 호스팅 영역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라우팅 대상과도 별칭을 이용한 간편한 연결이 가능했습니다. 특히 Route 53의 경우, 서비스를 이용하는 콘솔 화면에서 하이퍼링크로 공식문서를 참조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라고 느꼈습니다. Azure와 Google DNS는 직접 사용해보지 못하고 공식 문서를 참조해 정리했는데, 이 때 공식 문서의 양과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체험했습니다.  기능 별로 세세하게 잘 정리된 공식 문서를 배포하는 것이 서비스 사용자의 이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요금 정책의 경우도 AWS와 Google 비용 모델을 기반으로 기능마다 세부적으로 나누어 필요한 만큼 과금해 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세부화되어 복잡한 비용 계산의 이해와 예측을 돕기 위해 AWS처럼 사용자 지정 계산기를 제공하면 좋겠습니다. (Google DNS의 경우 계산기는 아니지만 공식 문서를 통해 기본적인 예시를 통해 비용 예측을 돕고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기능 비교를 위해 AWS 외에 타 클라우드 서비스는 직접 사용해보지 못했지만, 다음 비교에서는 사용자 경험과 더 자세한 분석을 위해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