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파일을 열어보고 편집, 저장 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vi 편집기입니다.

 

1. vi 편집기 사용하기

 

"명령 모드 + 입력 모드 구분이 중요"

 

명령 모드

 

esc로 명령 모드 진입

 

line 표시 :se nu 행 번호 표시
:se nonu 행 번호 표시 해제
줄 단위 이동 gg 파일의 가장 첫 줄로 이동
G 파일의 가장 마지막 줄로 이동
5000G 5000번째 줄로 이동
300 현재 줄 + 300번째 줄로 이동
줄 단위 복사 yy 커서가 위치한 해당 줄 복사
5 yy 다섯 개의 줄 복사
붙여넣기 p
삭제 dd 커서가 위치한 해당 줄 삭제
5 dd 다섯 개의 줄 삭제
모든 작업 취소 u
:q! 편집기에서 빠져나가기
검색 :/Network 파일에서 Network 문자열 검색
n 누르면 아래로 검색 결과
N 누르면 위로 검색 결과를 보여줌
커서 이동 방향키 or ajkl
*** Linux 종류에 따라 방향키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존재!
저장 :wq! 편집내용 저장 후 빠져나가기
명령어 실행 :![명령어] 편집기를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명령어 실행

 

 

*** vi 편집기로 파일 수정을 하고 ctrl 키 등을 잘못 눌러 이상 종료했을 경우 .swp 파일이 생깁니다.

생성 후 강제도 닫았던 파일 ⇒ 읽기 모드로 열리기 때문에 꼭 .swp 파일을 확인하고 삭제해 주어야 정상 작업이 가능합니다.

 

 

:1s/services/test/
# 1번째 줄의 services 문자열을 test로 변경

:%s/text/services/g
# 이 파일의 처음부터 끝까지 test 문자열을 services로 변경

:1,$s/test/services/g
# 1번째 줄부터 파일의 끝($s)까지 test 문자열을 services로 변경

:1co6
# 1번째 줄을 6번째 줄로 복사 (커서 이동 없이 복사 가능)

:1,5co1000
# 1번째 ~ 5번째 줄까지를 1000번째 줄에 복사

:1,5000d
# 1번째 ~ 5000번째 줄까지 삭제

:!ls -al
# 편집기 나가지 않고도 ls -al 명령어 실행

 

 

입력 모드

 

입력 모드 진입은 a, i, o - 주로 모음에 해당하는 알파벳으로 가능합니다.

 

a 커서 오른쪽에 입력
A 커서 오른쪽, 해당 줄의 맨 끝에서 입력
i 커서 왼쪽에 입력
I 커서 왼쪽, 해당 줄의 맨 앞에서 입력
o 커서 아래 행에 입력
O 커서 윗 행에 입력

 

 

vi 편집기를 잘 다룰 수 있도록 연습해야 다양한 설정 파일을 수정, 원하는 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기본 명령어와 vi 편집기에 익숙해질 것 !

 

 

 

2. vim과 alias 등록하기

 

vim 역시 linux 편집기이며, vi보다 향상된 버전으로 가시성이 좋아 편리합니다.

이미 vi 명령어에 익숙해졌다면, alias를 이용한 별칭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alias 명령어를 간소화해 다른 이름(별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alias vi='vim' vi 명령어 입력 시 vim으로 인식하도록 설정

 

*** 영구 등록 시(=reboot 시에도 이 alias 설정을 저장하려면) 설정 파일에 등록이 필요합니다!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쉘에 한정하여 적용하는 경우 ./bashrc에, 모든 사용자에게 다 적용을 원한다면 /etc/profile에 다음 내용을 등록해주면 됩니다.

 

 

vi .bashrc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