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JVXRH/btr3pqOFjQN/5D7kunZlUaiOS1Xa53HHe1/img.png)
1. 구성 환경의 이해 Bridged Adapter : VMnet0 스위치(Ethernet-VMnet0이 Bridge Gateway), 호스트와 게스트를 하나로 연결해 두 네트워크를 마치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 Host-only : 실제 네트워크 카드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부와 연결 불가능 (→외부로 트래픽이 나가지 X)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IP 주소 변환을 통해 내부 사설망으로 구성된 가상 머신들이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만능 기능! 인터넷 공유기의 개념 기본값 설정을 NAT로 하는 이유 = 안정성 ! NAT로 전부 통신 가능 구성도에서 VM1과 VM2는 같은 switch 아래 있으므로 IP 대역만 맞다면 통신 가능 Bridge Adapter를 ..
Linux
2023. 3. 13. 21:4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kubectl
- Route53
- github
- AWS
- redhat
- Azure DNS
- Linux
- vsphere
- RECA
- Local Zones
- Vmware
- EKS
- aws cli
- Route53 비용 정책
- kubernetes
- rocky9
- Git
- VM Tools
- 에티버스러닝
- Google Cloud DNS
- Docker
- Windows Server
- k8s
- IAC
- Ansible
- Window Server Manager
- IAM
- 클라우드 DNS 서비스
- ycampus
- VP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